[단독] 사법부 역사 한 곳에…'비밀의 방' 수장고 첫 공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박물관과 미술관에는 중요한 유물을 보관하는 '보물창고'인 수장고가 있죠.<br /><br />우리 사법부도 그런 곳이 있는데요.<br /><br />언론에는 처음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신선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기도 고양시 법원도서관.<br /><br />시민을 위한 공간을 지나 접근이 제한된 '비밀의 방'에 왔습니다.<br /><br /> "대한민국 사법부의 역사가 숨쉬고 있는 법원사 자료 수장고입니다. 우리 법원이 걸어온 자취가 고스란히 담긴 곳인데요, 언론을 향해 처음으로 문을 열었습니다."<br /><br />눈길을 사로잡는 건 '사도법관'으로 존경받는 고 김홍섭 서울고등법원장이 입은 두 벌의 법복입니다.<br /><br />일제시대 오동나무에서 해방 뒤 무궁화 무늬로, 변호사복 가슴에 새겨진 자수는 격변의 역사를 보여줍니다.<br /><br /> "여기 자수되어 있는 것은 기본적으로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오동나무에서…여기 자수되어있는 형태는 무궁화이고…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그런 문양이고요."<br /><br />모두 문화재청 등록문화재입니다.<br /><br />직함 없는 명함에선 '인간 김홍섭'으로 살려던 마음이 느껴집니다.<br /><br />일제치하 조선인 권익보호에 헌신한, '거리의 사람'이라는 '가인'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 유품도 보입니다.<br /><br />첫 여성 대법관 김영란 전 대법관 임명장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정갈한 한문서체.<br /><br /> "대한민국 정부수립 후 법조인 양성의 관문이었던 고등고시 사법과 1회 합격증입니다.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직전인 1950년 6월 1일자로 발급됐습니다."<br /><br />합격증 주인공은, 권오곤 전 국제형사재판소 유고전범재판소 부소장의 장인.<br /><br />국내 법조인 중 국제사법기구 최고위직에 오른, 고법 부장판사 출신의 권 변호사도 보스니아 전범재판 법복을 기증했습니다.<br /><br />판사·검사라는 말이 처음 나온 이 책은 1895년 2차 갑오개혁에 따라 최초로 사법권을 독립시킨 재판소구성법의 사본입니다.<br /><br />근대사법의 시작을 알린 자료로, 원본은 서울대 규장각에 있습니다.<br /><br />법원도서관은 2년마다 기획전에서 주요 유물울 선보입니다.<br /><br />대법원장 등 고위법관의 구술을 모아 사법역사를 보존하는 사업도 추진 중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선재입니다. (freshash@yna.co.kr)<br /><br />#수장고 #법원도서관 #사법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